청년도약계좌 이용하여 자산 쌓기

청년도약계좌 이용하여 가입자가 5년 (60개월)의 만기 동안 매월 최대 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하면, 정부가 기여금을 지급하고 이자소득에 대해서 비과세 혜택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월 최대 3.3 만원의 정부기여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청년도약계좌의 주요 특징 및 혜택

  • 5년 (60개월) 만기로 설계되어, 월 최소 1천원 부터 최대 70만원 한도에서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는 자유적립식 상품
  • 가입 후 첫 3년 동안은 고정금리가 적용, 2년 동안 변동금리 적용되는 하이브리드 형태를 가짐
  • 총급여 2,400만원 이하의 저소득층 청년을 두텁게 지원하기 위해 우대금리를 추가로 지급할 예정입니다.
  • 또한 2,400만원 이하인 경우 월 70만원을 납부하면 매칭 한도 40만원을 초과하는 30만원에 대해서 3%의 기여금이 추가로 지급됩니다.
  • 총급여 기준 4,800만원 이하인 경우 월 납입 한도 70만원에 미치지 못한 금액으로 납부하더라도 정부기여금을 모두 수령할 수 있도록 기여금 지급한도가 별도로 설정되었습니다.
  • 이자에 대한 비과세 혜택을 지원합니다. 이자도 종합소득세 신고시 이자소득으로 분류하여 총수익에 합산과세 되는데 청년도약계좌를 통해 받은 이자는 세금을 부과하지 않습니다.
  • 성실하게 납입한 가입자에게는 신용점수에 가점이 주어집니다. 가입 후 2년이 경과하고 누적 납입액이 800만원 이상인 가입자는 5~10점 가점을 받습니다.

정부기여금 지급 구조

개인소득 (총급여 기준)본인 납입한도(月)기여금 지급한도(月)기여금 매칭비율기여금 한도(月)월 최대 정부기여금 (2025년 1월 납입금액부터 적용)
2,400만원↓70만원40만원6.0%2.4만원3.3만원
3,600만원↓70만원50만원4.6%2.3만원2.9만원
4,800만원↓70만원60만원3.7%2.2만원2.52만원
6,000만원↓70만원70만원3.0%2.1만원2.1만원
7,500만원↓
 



청년도약계좌 가입대상 자격요건

  • 연령조건
    • 신규 가입일 기준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의 청년이 가입대상임
    • 병역 이행 기간은 연령 계산에서 제외 됩니다.
  • 개인소득 요건
    • 총급여액이 7,500만원 이하이며,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금액이 6,300만원 이하인 경우 해당합니다.
    • 육아휴직급여 또는 군장병급여 외 비과세 소득만 있는 경우 가입대상에서 제외됩니다.
  • 가구소득 요건
    • 중위소득 250% 이하일때 대상이됩니다.
    • 1인 가구 : 66,853,350원
    • 2인 가구 : 110,478,270원
    • 3인 가구 : 141,439,710원
    • 4인 가구 : 171,897,390원
    • 5인 가구 : 200,872,050원
    • 6인 가구 : 228,551,070원
    • 7인 가구 : 255,449,820원
  • 금융소득 요건
    • 가입일이 속한 과세기간의 직전 3개 과세기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인 1년 2000만원 초과하는 자에 해당하지 않아야 함

청년도약계좌 가입 및 유지절차

  • 모바일 앱을 통해 비대면으로 신청가능
  • 만 34세 초과자의 군대 경력 인증 서류나 소득 심사 결과에 따른 이의신청자의 경우 추가서류가 필요할 수 있음
  • 가입신청우 2주간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소득심사를 진행하며, 비대면이기 때문에 별도의 소득 증빙서류 제출할 필요가 없습니다.
  • 가입 후 1년 단위로 정부기여금 지급 비율을 재산정하기 위해서 개인소득 재확인 과정을 거칩니다.

청년도약계좌 중도 해지 및 부분 인출

  • 중도 해지
    • 5년만기이지만 불가피한 사유로 중도 해지할 경우 중도해지 이자율이 적용 되어 이자율이 차감되며
    • 정부기여금이 지급되지 않고 비과세 혜택도 사라질 수 있습니다.
    • 다만 퇴직, 사업장의 폐업, 천재지변, 3개월 이상의 입원, 생애최초 주택구입, 혼인, 출산 등의 사유 발생시 특별 중도 해지 사유에 해당하여 기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  • 부분 인출
    • 가입 후 2년이 경과한 가입자는 부분 인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    • 인출 가능 금액은 누적 납입금액 40% 이내로 제한됩니다.
    • 가입 후 3년 경과시 정부기여금 60%가 지급됩니다. 다만, 3년 경과전 부분인출시 정부기여금은 미지급 되며, 이자소득 역시 과세됩니다.

2025년 청년도약계좌 주요 변경사항

  • 2025년부터 정부 기여금 월 최대 금액이 2.4만원에서 3.3만원으로 인상됩니다.
  • 소득기준도 250%에서 180%에서 200%이하로 완화 됩니다.
  • 3년 이상 계좌 유지 후 중도해지시 정부기여금 60%를 지급 받고 비과세 혜택도 유지되어 혜택이 강화 되었습니다.

답글 남기기

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. 필수 필드는 *로 표시됩니다